반응형

Money 63

한국거래소 채권형 ETN 3배 레버리지 출시 허용

그동안 금융 당국은 높은 변동성을 이유로 3배 레버리지, 3배 인버스 출시는 허용하지 않아 왔습니다. 오늘 뉴스를 보니 채권형에 대해서 3배 레버리지를 허용한다는 뉴스가 나왔네요. 일반적으로 "채권은 안전하지" 이런 생각으로 허용이 된 것 같은데, 위험도 면에서 다른 지수추종 ETF와 위험도가 다를 게 없어 보여요. 이것은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상품의 월봉 차트입니니다. 1배 짜리 인데도 고점대비 -45.95% 절반이 날라간 상태입니다. 코스피200을 1배 추종하는 KODEX 200 ETF 의 월봉차트입니다. 고점대비 -32.50% 입니다. 채권이 더 많이 날라갔죠? 아무래도 장기 채권이니 변동성이 큰 것도 있지만, 어차피 미국장에서 TQQQ, SQQQ, SOXL 우리나라 사람들이 열심히..

Money/경제이슈 2022.10.24

파킹통장, 앱테크까지 동시에 가능한 선택이 있다.

자유로운 입출금, 앱테크, 높은 이율의 파킹통장이 가능한 은행이 있어 소개드립니다. 지난 5월에 파킹통장 관련 글을 올린적이 있는데요. 그때 기준 대신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사이다뱅크, 그리고 토스를 말쓰드렸어요. 그때 제가 선택한 곳은 토스 입니다. 이제 한 5개월 정도 사용을 했는데요. 대만족입니다. 소개드릴때 2% 금리였는데, 2.3%로 금리가 올랐어요. 입출금 자유로운 통장이구요. 장점들이 정말 많은데 하나씩 소개 드려볼게요. 편리한 통장 쪼개기 기능 토스 에서는 하나의 계좌에서 모으기라는 이름으로 통장쪼개기가 가능해요. 저같은 경우에는 여행경비5만원, 차량정비5만원, 월10만원비상금 이렇게 모으고 있는데 이제 4개월째 모으고 있어요. 1년 모아서 쓸거다, 2년 모아서 쓸거다 이..

Money/저축상품 2022.10.24

레고랜드 사태가 일파만파, 정부가 하는 걸 보니 문제가 심각하다.

회사채에는 신용등급이 있습니다. 지방채에도 신용등급이 있을까요? 지방채에는 신용등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등급 초저위험 5등급. 지방채는 안 갚는 일이 일어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났죠. 김진태 강원지사가 보증이행을 못한다고 했죠. 우리나라 최고 등급의 신용에 박살을 낸겁니다. 오늘 관련해서 뉴스가 많이 나오더라구요. 나오는 뉴스들을 보면서 뭔가 잘못됐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신용이 제일 좋은 지방정부가 돈을 안 갚아? 그럼 다른 지방정부는? 다른 건설사는? PF 많이한 증권사는? 문제없는거 맞아? 돈을 빌려주기가 겁나는데..? 지금 상황이 이런데, 정부의 답이 뭡니까? 돈빌려주기 겁나? 나라돈으로 빌려주면 되지 뭐~ 지방정부가 보증 선 거 안 갚는다는게 아니고 ..

Money/경제이슈 2022.10.23

추천 예금 : 키움저축은행 e-plus 정기예금

6%대 예금 상품 추천드립니다. 키움저축은행의 e-plus 정기예금 상품으로 단리, 복리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단리로 선택하실 경우 매달 이자를 지급받게 되고, 복리의 경우 납입기간 만기후 원금과 이자를 함께 지급받게 됩니다. 12개월 24개월 기준, 단리는 6.2%이자를 적용 받고, 복리의 경우 12개월은 6.37%, 24개월은 6.58%를 적용 받습니다. 확정금리 상품입니다. 인터넷으로 가입하는 비대면 상품입니다. 24개월, 일반세율 기준 단리와 복리의 예금 이자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e-plus 정기예금(단리) 원금 : 5천만원 매달지급이자 : 218,563원 총 이자 : 5,245,512원 세전 연이율 6.20% 세후 연이율 5.25% e-plus 정기예금(복리) 원금 : 5천만원 만기지급이자..

Money/저축상품 2022.10.23

신용경색 - 지방정부(강원)의 디폴트, 개발사업과 유적지 문제 하루 이틀도 아니고..

개발 사업을 진행하면서 유적지가 발견되는 일이 이번이 처음은 아닐겁니다. 그동안 반복되어온 일에 무슨 천재지변이 생긴 것 처럼 당황한다는 것이 정말 이해가 안 되네요. 예전에 듣기로는 유적이나 유물이 개발중에 나오면 슬적 덮어버리거나 심지어 갈아버리는 경우도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사업자가 개발중 유적지가 나오고 유물이 출토되더라도 손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온전히 문화 유산들을 보호할 수 있는 조건들을 만들면 좋을 듯 합니다. 개발 사업 진행시에 보험에 가입하게 하고 사업중 유적, 유물등에 의해 사업이 중단될 경우 투자된 비용에 150%를 보험으로 보상하게 된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요. 보상비율은 조정해야 겠지만, 어찌되었든 사업자가 기꺼이 유물이 나온것을 신고하고 깔끔하게 사업을 중단하는..

Money/경제이슈 2022.10.22

투자일지: 국채금리 폭등중, 코스피하락 나스닥 상승

내일이 두렵네요. 투자한 뷰와 반대방향으로 크게 움직인 것들이 많아서 내일의 손실폭이 얼마나 될지.. 걱정이 됩니다. 미국, 한국 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일본의 환율 방어로 인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코스피200은 윗꼬리 달고 보합, 나스닥100은 꽉채운 양봉이네요. 베트남 시장은 큰폭으로 하락했고 홍콩의 항셍테크는 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서부텍사스유는 하루 쉬어가는 분위기이고, 천연가스는 6일 연속 큰폭의 하락을 보여 줬습니다. 9월 14일 미국 철도 파업 이슈로 천연가스가 급상승했었습니다. 그날 천연가스 인버스를 잡고 팔지 않고 쭉 들고온 사람이 진짜 부러웠었는데, 10월 13일 천연가스 곱버스 들어가서 지금까지 들고 있는 분이 진짜 승자네요. 단 7영업일만에 엄청난 수익률 나왔을것 같아요...

Money/투자일지 2022.10.22

국채 금리 상승의 주범은 일본

지난 이틀간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의 이유는 일본의 환율방어로 보입니다. 엔달러 환율 차트를 보면 저녁 11시 부터 1시간 반 가량 달러를 열심히 패대기 치고 엔화를 줍줍한 흔적이 그대로 드러나 있네요. 우연히 저녁 10시쯤에 주요 환율들을 스크린샷으로 잡아놨었는데요. 단 4시간 만의 환율의 변화가 극적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이 주범이긴 한데, 종범들도 있지요. 일본이 미국채권을 대규모로 던지니까 다른 곳도 손실 폭이 급격하게 커지니까 같이 던졌겠죠. 어찌되었든 일본의 규모가 가장 컸던거구요. 마찬가지로 달러도 일본이 마구 패대기 치니까 다른 곳에서도 같이 던진 결과로 극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이죠. 1,000엔에 95,397원이었는데, 4시간후 1,000엔에 97,243원이 돼버렸죠. 쉽게 말해..

Money/경제이슈 2022.10.22

국채금리는 왜 오르는가?

태풍이 온다는 뉴스를 듣는것과 실제 태풍이 와서 간판이 날아다니는 건 전혀 다른 세상입니다. 와.. 미춰버리게 국채가 오르네요. 아무리 뉴스를 찾아봐도 "올랐다" 만 있네요. 그래서 제 나름대로 왜 국채금리가 오르는지 생각해봤습니다. 미래는 과거와 똑같이 움직이지 않지만 그래도 흐름을 통해서 예상을 해봐야 하는데 근 30년 이내에는 지금 같은 모습을 찾아 볼 수가 없습니다. 미국은 계속해서 성장해왔지만 성장의 크기 만큼 그 폭은 조금씩 줄어들 수 밖에 없는게 당연한 겁니다. 그런데 마구~ 치솟고 있습니다. 정말 1970년대말, 80년대 초의 상황으로 가게 되는 건가요? .. 참으로 걱정스럽네요. 미 연준은 긴축을 강해게 외치고 있습니다. 국채 금리도 올라가구요. 달러 가치가 상승하지요. 다른 통화들은 가..

Money/경제이슈 2022.10.22
반응형